카테고리 없음

정치권, 한나라 압승예상에 531 후폭풍 촉각

능산선생 2006. 5. 26. 02:21
728x90
반응형

정치권, 한나라 압승예상에 ''5·31'' 후폭풍 촉각


5·31 지방선거 후 정계 개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열린우리당이 이번 선거에서 참패하면 당 안팎에서 지도부 책임론 제기와 함께 정치권의 이합집산 가능성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우리당 내에서는 지방선거 후 정계개편을 둘러싼 각종 시나리오가 흘러나오고 있다. 정계개편 논의의 출발점은 현재의 우리당 대 한나라당 구도론 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정동영 의장이 지난 24일 ‘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을 들고나온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이는 한나라당 대 반 한나라당 구도로 새 판을 짜겠다는 속내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벌써부터 우리당은 선거 이후 고건 전 총리 세력 영입과 민주당과의 합당, 국민중심당과의 정책연합 등을 통해 반 한나라당 전선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가 나온다.

친노그룹 참정연 대표인 이광철 의원은 25일 “통합론은 우리당을 중심으로 한나라당의 집권을 막기 위한 민주평화개혁 세력의 대통합을 의미한다”며 “고 전 총리를 비롯한 모든 반 한나라당 민주세력에게 문을 열어 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상호 대변인은 “민주평화개혁 세력의 총결집론은 시기와 방법을 둘러싼 이견이 있을지 몰라도 총론적으로는 합의돼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고 전 총리 영입파인 안영근 의원은 정치판의 ‘헤쳐모여’를 주장했다.

그는 “지방선거를 통해 우리당이 정계개편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점이 판명되고 있다”며 “당장 6월에 지각변동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개혁 세력의 대통합이 성공하려면 당내 계파가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당내 대선후보들은 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대선 불출마 선언 등 기득권을 완전 포기한 뒤 통합을 추진하는 게 순서”라고 강조했다.

장영달 의원은 “당내 어느 세력도 자기 기득권에 집착해 세력경쟁을 하려고 해선 안되며 기득권을 던지는 방식이라야 대통합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거 패배의 책임론이 의외로 거세지고 향후 주도권을 둘러싼 우리당 내 계파간 갈등이 본격화된다면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과 분당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이같은 최악의 상황이 현실화된다면 노 대통령 직계세력을 제외한 신당 창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은 대통합론에 반발하고 있다. 유종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분열의 산물인 우리당 해체선언부터 하는 것이 모든 위기극복의 시작”이라며 “한나라당에 대연정을 제안했다 퇴짜맞은 우리당은 민주개혁세력의 구심점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최현태·나기천 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