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이명박 러브콜?
대선당선후 영남맹주 굳히기
노무현대통령이 이명박 서울시장과 전격 연대하려는 움직임도 보일 수 있다. 이같은 확률은 대선정국에 최대 변수로 작용한다. 노대통령이 열린우리당에서 탈당 할 경우 유력한 대권주자인 이명박 시장과 연대해 다음 대선에서 승리한다는 승부수를 띄울 수 있다. 이는 노대통령이 이명박시장을 대통령으로 만들고 자기는 추후 영남맹주로서 정치생명을 이어간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히 개헌정국으로 몰아간다면 노대통령은 이명박시장을 대선후보로 내세우면서 강금실 전법무부장관을 런닝메이트로 대선에 올인한다는 것이다. 그후 강금실씨를 차차기대권후보대열에 올려놓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이 탈당하면 힘이 없을 것 같지만, 공정한 경쟁을 관리하면서 훨씬 다양한 카드를 갖게 될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선거가 끝나면 식물인간이 된다. 자의든 타의든 탈당을 해야 한다.
이명박시장도 노대통령의 이런 구상에 손을 내밀수 도 있다는 보고 있다. 이는 한나라당 경선 구도가 이명박 시장 쪽에서 볼 때 한쪽으로 쏠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압승의 주역인 박 대표가 경북, 호남, 충청 등 상당 부분 먹고 들어가고 있다. 이렇게 볼때 이명박시장은 지는 구도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 다.
수도권이나 한나라당 소장파 역시 절대적 이해관계가 걸릴 수 있다. 이들은 통합 구도에서 치러지는 대선에서 한나라당의 집권을 확신하고 있지 않다. 한나라당도 재창당이나 분당 과정에서 변화를 모색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한나라당의 내부에 이명박-수도권 소장파 중심의 새로운 한나라당, 새로운 보수당이 만들어진다면 그 세력은 노무현 대통령과 비호남 개혁세력과 정치 성향으로 가장 가깝다.
지역 정당과는 무관한 전국 정당이고 이념적으로는 박근혜-TK, 민주노동당 사이에 놓이는 중도가 된다. 노무현 혼자 이런 구도를 만들어갈 수는 없지만, 한나라당에서 흐름이 만들어지면 분열 구도를 강화하는 쪽으로 힘을 실어줄 가능성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