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이후 「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과 「노무현을 사랑하는 모임」이 전격 화해와 함께 손을 잡는다. 임기 1년반을 남겨 놓고 있는 노무현대통령의 국정수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극을 달리는 이들 단체가 공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연정」이다. 만일 이같은 드라마가 연출될 경우 이는「민정당-민주당-자민련」합당한 「민자당」에 이어 지난 97년 대선때 DJP연대에 이은 또 다른 정치사로 장식해야 한다.
한나라당, 대연정 수용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한나라당이 지난해 노무현 대통령이 제기했던 대연정에 대해 수용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해 “새로운 정치문화와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전제된다면 2선후퇴나 임기단축을 해서라도 ‘노무현 시대’를 마감하고 새 시대를 시작할 수 있다는 의지와 결단도 생각해 봤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노대통령의 후원부대라고 할 수 있는 노사모가 대연정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마당에서 한나라당이 이를 수용하기로 나서 한나라당과 노사모가 적대 관계에서 이제 상생하는 길로 가게 된다.
왜 갑자기 두손을 들고 반대하던 한나라당이 돌아섰을까?
한나라당은 지난 2002년 대선의 악몽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도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 정치권에서 일고 있는 합종연횡을 차단해야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의 지방선거 참패로 다의 존폐위기에 놓인 상태에서 노무현대통령을 정파를 초월한 대통령으로 앉히고 국정파트너로서 내년 대선까지 끌고 간다는 전략이다.
이에따라 한나라당은 국정 협조자로서 노대통령의 국정현안에 대해 무조건 반대 아닌 대안을 제시하면서 동반자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노대통령이 국정의 원활한 수행차원에서 연립내각 구성을 협조해 올 경우 내각구성에 협조하면서 총리인준에도 동의할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이에 대한 일환으로 정부부처와의 당차원에서 협조를 추진하는 당정협의회 가동을 추진키로 했다.
노대통령은 남은 임기의 국정을 펴기 위해서는 야당을 국정파트너로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민심의 향배가, 그것도 폭발적인 양상으로 확인됐다는 점에서 한나라당과의 협조 체제 구축이 노 대통령에게는 향후 1년 8개월 남은 임기 기간 동안의 국정 운영에 대단히 중요한 과제가 됐다. 그것이 민심에 순응하는 길이기도 하고,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기세등등한 야당과 사실상 사분오열 상황의 여당으로 구성된 불균형 정국구도를 돌파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과거 여소야대 시절과 같은 야당 연합이 아니라 단일 야당으로서 여당보다 훨씬 큰 지지를 받았다는 점에서 한나라당은 과거 어떤 야당보다 막강한 발언권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로 민심이 현 집권 세력에 등을 돌린 게 확인된 만큼 이번 지방선거는 기존의 국회 의석수 분포와는 무관하게 한나라당이 정부의 국정 운영에 개입할 여지를 활짝 열어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6월 월드컵, 7월 재보선 등의 일정을 감안할 때, 한나라당을 향한 노 대통령의 '제안'은 다시 윤곽이 드러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노대통령, 열린우리당 마이웨이
이와 동시에 노 대통령의 입장에서 열린우리당과의 '거리 두기' 전략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이번 선거 과정에서도 박근혜 대표의 피습 사건 이후 검.경 합동수사팀을 꾸릴 것을 지시한 것 말고는 완전한 '침묵'으로 일관했다.
또 노 대통령은 지난 2월 취임 3주년을 맞아 출입기자들과 북악산 등반을 하면서 임기 중에 있는 총선, 지방선거와 관련해 "형식적, 논리적으로는 중간평가이지만 제대로 된 업적평가가 아니라 이미지 평가일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에 대한) 평가와 심판은 (대통령선거로) 한꺼번에 모아서 딱 진퇴를 결정하는 게 적절하다"고 일찌감치 '선거 책임론'에 대비해 선을 긋기도 했다.
청와대는 노 대통령의 이같은 '거리두기'와 관련해 당정분리 원칙을 강조하면서 정치적 차원이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2002년 6·13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이 패배하자 "국민의 선택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며 선거 패배의 책임을 통감한다는 뜻을 밝혔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지방선거 약 한달 전쯤에 아들들의 비리 의혹 사건과 관련해 민주당을 탈당한 상태였다. 지금 청와대와 여당의 관계가 어떤 것이건, 또 노 대통령과 그 참모들이 이번 선거의 의미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건 간에 대통령과 청와대가 이번 선거결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