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24절기의 시작으로 봄이 옴을 알리는 절기 입춘(立春).
입춘이 되면 대문이나 기둥에 한 해의 행운과 건강을 기원하며 복을 바라는 글귀를 붙이는데 이런 것을 立春祝이라고 한다.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라고 하며, 전라북도에서는 입춘축 붙이면 “봉사들이 독경하는 것보다 낫다”라고 하여 입춘에는 꼭 하는 세시풍속이었다.
입춘축에 주로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이는 이조시대 남인의 거두 미수 허목이 쓴 글로 곧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생기고, 새해에는 기쁜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이다.
또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지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의 수여산(壽如山) 부여해(富如海),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의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백복래(開門百福來)’ 같은 것들도 있다.
입춘 세시풍속 가운데는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도 있다. 적선공덕행이란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을 꼭 해야 한 해 동안 액(厄)을 면한다고 믿은 것이다. 사람이 죽어서 상여 나갈 때 부르는 상엿소리에 “입춘날 절기 좋은 철에 헐벗은 이 옷을 주어 구난공덕(救難功德) 하였는가?”라고 묻는다. 적선공덕행을 하지 않으면 그해의 액은 고사하고 염라대왕에게 심판을 받는다고까지 생각했던 것이다.
입춘일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농사의 흉풍을 가려보는 농사점을 행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고 한다.
맞다. 윤석열發 ‘그놈의 계엄령’ 때문에 동토의 왕국으로 몰아넣으려 했으나 우리 민중은 이를 몸으로 막고 尹을 탄핵, 감옥소로 집어넣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공화국을 재건했다.
대한민국의 풍작을 위해 5월의 장미 대선에서 새 지도자를 잘 선출해야 한다.
장미는 아름다움과 사랑, 비밀이라는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세 가지를 모두 가진 꽃이 되었으니 ‘꽃의 여왕’이라는 왕관을 받을만하다.
장미의 꽃말은 ‘애정’, ‘사랑의 사자’, ‘행복한 사랑’ 등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결혼식용 부케나 여성에게 주는 선물로는 최고의 꽃이다.
장미 꽃말은 꽃의 색깔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다.
빨간 장미는 욕망, 열정, 기쁨, 아름다움, 절정등으로 표현하며 하얀 장미는 존경, 빛의 꽃, 순결, 순진, 매력등을 나타낸다. 분홍 장미는 맹세, 단순, 행복한 사랑이며 노란 장미는 질투, 완벽한 성취, 사랑의 감소등을 담고 있다. 파란 장미는 얻을 수 없는 것, 불가능한 것이며 빨간 장미 봉오리는 순수한 사랑, 사랑의 고백이다. 하얀 장미 봉오리는 “나는 당신에게 어울리는 사람입니다.”이며 들장미는 고독, 소박한 아름다움을 표한다.
그러나 지금 대한민국은 얻을 수 없는 파란장미로 “나는 당신에게 어울리는 사람입니다.”의 하얀 장미 봉오리를 억누르며 순수한 사랑인 빨간 장미를 짓밟고 있다.
입춘이 되면 대문이나 기둥에 한 해의 행운과 건강을 기원하며 복을 바라는 글귀를 붙이는데 이런 것을 立春祝이라고 한다. 입춘축에 주로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이는 이조시대 남인의 거두 미수 허목이 쓴 글로 곧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생기고, 새해에는 기쁜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민중들은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의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백복래(開門百福來)’가 甲辰年 용기와 도전하는 청룡의 해가 되길 바란다.
그러나 지금 정치권을 보면 싹이 노랗다. 푸른 뱀은커녕 이무기 형국이다.
이무기(螭龍)는 한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로 용이 되기 전 상태의 동물이다. 차가운 물 속에서 1000년 동안 지내면 용으로 변한 뒤 여의주를 갖고 굉음과 함께 폭풍우를 불러 하늘로 날아올라간다고 여겨졌다. 그때 이무기가 승천하는 모습을 누군가가 목격하면 이무기는 다시는 승천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무기에 관련된 속담으로는 용 못된 이무기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심술이 가득하고 인정이 없어 다른 사람에게 손해만 입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뜻한다. 형국이 이렇게 구정물로 흘러가고 있으니 푸른은 없고 이무기만 드글거릴 뿐이다.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제아무리 추워도 입춘 지나면 견딜만하다는 의미다.
입춘은 화기(和氣)가 도는 시절이다. 우리 사회 우울한 소식이 끊이지 않아 안타깝다. 특히 민생을 보듬어야 할 정치는 외려 민중이 걱정해야 할 처지가 됐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 여는 세상-설 민심‘밥상’➦“칼로 죽이는 것과 정치 잘못해 죽이는 것과 별반 다름 없지않냐!” (0) | 2025.01.27 |
---|---|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 세상-트럼프vs김정은 6년만에 再會➬장미대선,‘남북의 窓’열자!! (0) | 2025.01.25 |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 세상-트럼프 2.0 歸還,北 핵보유국➽“尹아,선제타격 無用之物” (0) | 2025.01.22 |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 세상-尹의 패‘落張不入’,易地思之➷‘바나나 공화국’ (0) | 2025.01.19 |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 여는 세상-헌정사상 첫 구속➫세계민주주의 꽃!!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