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열사 3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 세상-尹아,‘박종철&이태석忌日’ 짓밟지마라➫한남산성 나와 오라 받으라!!

【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책상을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1987년 1월 14일 밤 12시, 경찰 조사를 받던 1964년 4월 1일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에서 박정기와 장차순의 아들로 태어난 스물두 살 대학생 박종철(서울대 언어학과 3학년)이 사망한다.“예수님께선 ‘가장 보잘것없는 이에게 해 준 것이 곧 나에게 해 준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왜 굳이 신부가 됐느냐고, 의사로서도 소외된 이웃을 도울 수 있다고, 왜 굳이 아프리카까지 갔느냐고, 한국에도 가난한 사람이 많다고. 그 모든 물음에 고 이태석 신부는 이렇게 답했다.이 신부는 2001년 로마 교황청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자청해서 아프리카 수단으로 갔다. 내전 중인 남수단은 위험하기 짝이 없는 지역이었다. 그곳을 자원하는 성직자는 거의 없었다...

사회 2025.01.14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 세상-‘전두환發 백골단 등장’➜‘제2의 전태일 열사’ 트라우마!

【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이 결단을 두고 얼마나 오랜 시간을 망설이고 괴로워했던가?지금 이 시간 완전에 가까운 결단을 내렸다.나는 돌아가야 한다.꼭 돌아가야 한다.불쌍한 내 형제의 곁으로, 내 마음의 고향으로..... 내 이상의 전부인 평화시장의 어린 동심곁으로"이는 지금으로부터 51년전 1970년 11월 13일 오후 1시 30분경 서울 평화시장 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을 대변한 전태일 열사의 글귀다. 전 열사는 인권이 유린된 산업화 시대의 노동자를 대변한 인물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노동자의 삶과 질이 향상되는 계기가 되었고 노동운동의 선진화를 맞았다.노동은 창조적 행위이라고 할수 있다. 노동을 함으로써 노동의 대상에다 인간의 생각이나 의지, 나아가 사상을 구체화시켜 무언가 없던 것을 만들어..

경제 2024.11.13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 세상-“지금 노동계, 52년 散華한 전태일 열사를 부른다!”➬‘나눔 노동학’,與民同樂

[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이 결단을 두고 얼마나 오랜 시간을 망설이고 괴로워했던가? 지금 이 시간 완전에 가까운 결단을 내렸다. 나는 돌아가야 한다. 꼭 돌아가야 한다. 불쌍한 내 형제의 곁으로, 내 마음의 고향으로..... 내 이상의 전부인 평화시장의 어린 동심곁으로" 이는 지금으로부터 52년전 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을 대변한 전태일씨의 글귀다. 그는 인권이 유린된 산업화 시대의 노동자를 대변한 인물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노동자의 삶과 질이 향상되는 계기가 되었고 노동운동의 선진화를 맞았다. 노동은 창조적 행위이라고 할수 있다. 노동을 함으로써 노동의 대상에다 인간의 생각이나 의지, 나아가 사상을 구체화시켜 무언가 없던 것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노동을 하면서 내가 무엇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정치 2022.11.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