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3022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 여는 세상-현충일 69주기,‘아리랑’ 김산墓 술 한잔 올리고 싶다!!

[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흰 새 두 마리가 두터운 구름 속으로 날아가네.저 아래 세상이 달걀만하게 보이네……그 자유롭던 날개가 지금은 우리 속에 갇혔구나­태양이 떠오르기를 기다리지 말지어다!」죽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면서도 행동하러 국내로 떠 날 때 한국 테러리스트들이 의례껏 부르던 유명한 노래로 현대 한국의 무정부주의 시인인 林舍(임사)가 지은 시.중국 정부가 보존하고 있는 토굴에는 시대를 감동시킨 책 ‘아리랑’이 탄생시킨 님 웨일즈 미국 여기자가 한 독립 운동가를 만나고 기록한 대목에 바로 독립투사 김산(본명 장지락)이 1933년 4월26일 일본 형사에게 잡혀가면서 읊는 시다.김산은 일본 경찰에 체포당한 뒤 모진 고문을 당하고 극비리에 처형당했다. 그는 고문을 당하면서도 벽에 아리랑을 써 내려갔다..

사회 2024.06.06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여는세상-“씨앗 뿌린 ‘芒種’, 지구 亡終 告한다!”

[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6월5일은 벼, 보리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알맞은 때, 24절기의 아홉째인 라는 망종(芒種)이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는데 망종까지는 보리를 모두 베어야 빈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그러나 어렵게 산 선조들은 망종은 어디가고 ‘보릿고개’'라는 말이 등장했다. 이처럼 예전에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망종까지 헐벗고 굶주린 국민들이 많았다. 보리는 소화가 잘 안 돼 '보리 방귀'라는 말까지 생겼지만 보리 방귀를 연신 뀔 정도로 보리를 배불리 먹어보는 것이 소원이기도 했다. 오죽하면 "방귀 길 나자 보리 양식 떨어진다"는 속담이 나왔을까?芒種 지금, 벼, 보리수염은 어디가고 환경오염으로 온실속에서 재배하는 시대다. 그래서 지난..

사회 2024.06.05

[데일리메일]-김원섭 아침 여는 세상-천공發“우리도 산유국”➦尹,65년만 ‘산유국 꿈’

[데일리메일=편집인 김원섭]“나의 꿈이 출렁이는 바다 깊은 곳/ 흑진주 빛을 잃고 숨어 있는 곳/ 제7광구 검은 진주/ 새털구름 하늘 높이 뭉실 떠 가듯/ 온 누리의 작은 꿈이 너를 찾는다”1976년 정부가 경북 포항에서 석유가 나온다고 발표해 인근 도시를 떠들썩하게 하자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송사를 벌인 일이 있다. 정난이가 부른 ‘제7광구’도 그런 역사적 배경에서 등장한 노래다.노래는 발표되자마자 호응을 얻었고 일본에도 알려져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러자 당시 전두환 대통령은 정난이를 청와대에 불러 공로를 치하하고 현금 100만원을 줬다고 한다. 현재로 따지면 수천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노래 도입부에 ‘취이익’ 하는 효과음이 들리는데 석유 시추를 표현한 것이다. 아마 우리 가요사에 석유 나오는 소리..

경제 2024.06.04
728x90